728x90
2025년 1월, 대한민국의 수출이 1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한 491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로 인해 무역수지는 18억90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며 20개월 만에 적자 전환했습니다.

주요 원인 및 세부 내용:
- 조업일수 감소: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전년 대비 4일 줄어든 것이 수출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설 연휴를 제외한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한 24억6000만 달러로, 역대 1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 수출 품목: 반도체와 컴퓨터 SSD 수출은 증가했으나, 대부분의 주요 품목 수출은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101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1% 증가하며 9개월 연속 1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 수출 감소 품목: 자동차와 부품, 석유제품 등의 수출이 줄어들었습니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완성차 및 부품 업계의 추가 휴무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 지역별 수출: 중국 수출은 춘절 연휴 영향으로 14.1% 감소한 91억9000만 달러, 미국 수출은 자동차 및 일반기계 수출 감소로 9.4% 감소한 92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아세안 수출은 2.1% 감소했지만, 베트남 수출은 4.0% 증가했습니다.
수입 및 무역수지:
- 수입: 에너지 수입이 14.0%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6.4% 감소한 51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원유, 가스, 석탄 수입이 모두 감소했습니다.
- 무역수지 적자: 수출에서 수입을 제외한 무역수지는 18억9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21억4000만 달러 감소한 수준입니다.
정부의 평가: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장기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줄어들어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됐다"고 평가하며, "일평균 수출이 증가했으며 대다수 품목과 시장에서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만큼 수출 모멘텀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강조했습니다.
728x90
'국내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발 관세전쟁의 여파: 한국 금융시장과 환율 파동 (2) | 2025.02.04 |
---|---|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이 정부의 예측보다 낮은 1.6%로 전망되면서, 장기적인 성장 정체가 우려 (0) | 2025.02.03 |
대출 금리 인하 압박 속 은행들의 대응: (1) | 2025.01.27 |
국민연금 수령액 300만 원 시대의 도래와 그 의미 (0) | 2025.01.24 |
25년 올해 한국 증시 상승 가능성 높다: 전문가가 제시한 이유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