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락하는 달러인덱스와 그 의미
최근 달러인덱스는 1년 9개월 만에 10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달러인덱스가 99.01까지 하락한 것은 2023년 7월 이후 처음이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약 9.4%가 급락했습니다. 특히 최근 하루 장중에는 3.8%가 하락하며 2022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관세 자충수…달러패권이 흔들린다
관세 자충수…달러패권이 흔들린다, 달러인덱스 1년9개월 만에 100 밑으로 트럼프 취임 후 9% 하락…국채·달러값 동시에 ↓ "주먹구구 관세에 신뢰 상실"…안전자산 지위 휘청
www.hankyung.com
반면, 다른 국제 통화들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유로화: 1.1381달러까지 치솟음 (연초 1달러 이하 예측과 대조적)
- 엔화: 달러당 143엔대로 하락(엔화 가치 상승)
무너지는 안전자산 공식
일반적으로 주식 시장이 하락할 때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몰려 미국 국채와 달러 가치가 오르는 것이 통상적인 패턴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그 공식이 깨지고 있습니다.
-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 연 4.448%로 상승(국채 가격 하락)
-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도 불구하고 미국 국채와 달러 가치가 동시에 하락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결국 미국 경기 침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입니다.한국경제
중국, 보복관세에 "자충수" 역공...'반미연대'는 전략적 덤 / YTN
달러 약세의 원인과 영향
달러 약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이고 허술한 관세 정책에 따른 여파로 분석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 신뢰도 상실: 미네아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닐 카슈카리는 "보통 큰 관세 인상이 있을 때 달러가 오르는 것이 예상되지만, 달러가 동시에 하락하는 것은 투자자 선호도 변화 이야기에 더 신빙성을 부여한다"고 지적했습니다Forbes.
- 세계 질서의 변화: UBS 투자은행의 수석 전략가인 바누 바웨자는 "달러가 중심 기둥이었던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 금융 질서가 잠재적으로 훼손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Forbes.
- 안전자산의 변화: 달러가 약화되는 동안 금 가격은 급등하며 투자자들이 안전한 보관소를 찾는 대표적인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현물 금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약 $3,260이라는 새로운 기록에 도달했으며, 연초 대비 23% 상승했습니다Forbes.
글로벌 시장의 반응
전 세계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 해외 투자자 이탈: "미국은 하룻밤 사이에 안전한 피난처 속성을 잃은 것 같다"라고 호주 국립은행의 FX 전략 책임자인 레이 아트릴은 언급했습니다Reuters.
- 기대와 현실의 괴리: "투자자들은 관세가 달러에 긍정적이고 세계 나머지 지역에는 부정적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경제는 현재 이러한 최대 관세를 견딜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았습니다"라고 ING의 글로벌 시장 책임자인 크리스 터너는 설명했습니다CNBC.
- 전례 없는 변동성: 달러 지수는 트럼프의 관세 발표 직후 24시간 내에 3%가 하락했으며, 11월 대선 이전보다도 약화되었습니다CNBC.
미국 예외주의의 종말?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몇 년간 미국은 다른 나라보다 더 빠른 성장과 기술 발전, 풍부하고 저렴한 에너지로 '미국은 다르다'는 미국 예외주의를 누려 왔지만 이제 외국인 투자자에게 미국은 안전하지 않은 나라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한국경제.
도이치방크의 피터 시도로프 수석 국제 경제학자는 "시장은 새로운 미국 행정부의 급진적인 비전과 불안정한 정책 하에서 미국 예외주의에서 비롯된 미국 자산에 대한 역사적 프리미엄이 얼마나 정당화되는지 재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Investors.com
장기적 전망
현재 전 세계 외환 보유고 중 약 57.8%(12.4조 달러)가 미국 달러로 구성되어 있어,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는 여전히 공고합니다. 달러가 3년 만에 가장 약한 수준이긴 하지만, 역사적으로 약한 것은 아니며 2016년부터 2021년 범위 내에 여전히 잘 위치해 있습니다Forbes
그러나 이번 위기가 일시적인지, 아니면 달러 패권의 구조적 변화의 시작인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과 글로벌 시장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의도치 않게 달러의 글로벌 위상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채와 함께 달러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은 미국의 경제적 기초체력에 대한 시장의 불신을 반영하며,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패권이 도전받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글로벌 경제 질서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60년 만에 은퇴 선언... "연말에 물러난다" (2) | 2025.05.04 |
---|---|
무너지는 중국 경제: 디플레이션과 관세 전쟁의 이중 붕괴 (2) | 2025.04.28 |
트럼프의 상호관세 유예 결정, 그 이면의 '채권 시장 공포' (0) | 2025.04.11 |
트럼프 "韓관세, 美 4배" 발언에 정부 '발끈'…"사실과 다르다, 오해 불식시킬 것" (0) | 2025.03.06 |
"세계 공장 넘어 세계 랩으로"…중국, 명실상부 기술강국 도약, 한국은 괜찮을까?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