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와 투자

JP모건 "카카오그룹 급등, 정당화 어렵다" 냉정한 분석

포커스 경제(FoucusEcon) 2025. 6. 10. 09:18
728x90

 

카카오그룹 전반 급등세

카카오페이 상한가 돌파

  • 전날 29.92% 상한가 기록
  • 프리마켓에서도 두 자릿수 상승률 지속
  • 카카오, 카카오뱅크, 카카오게임즈 동반 상승

급등 배경

  1. 이재명 정부 지역화폐 정책 수혜 기대감
  2.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주체 가능성
  3. 소비쿠폰 정책 등 정부 정책 수혜주 부각

JP모건의 냉정한 분석

지역화폐 수혜 효과 제한적

JP모건은 카카오페이의 실질적 수익 기여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했습니다:

  • 정부 예산: 지역화폐·소비쿠폰 10조원
  • 카카오페이 점유율: 30% 가정
  • 결제 수수료율: 0.56%
  • 예상 수익: 약 170억원 (연간 매출의 2% 수준)
  • 영업이익: 약 30억원 추정

시가총액 대비 미미한 효과

"시가총액 6조7000억원 기업에게 의미 있는 실적 기여가 아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불확실성

스테이블코인 기대감의 한계

  •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정책 초기 단계
  • 수혜주 단정하기 시기상조
  • 불확실성 여전히 큰 상황

과거 패턴과의 유사성

2022년 말~2023년 초 랠리와 비교

  • 펀더멘털 기반 아닌 기대감 중심 상승
  • 당시에도 정상화 과정을 거쳤음
  • 보수적 투자 접근 권고

JP모건 투자 의견

개별 종목 투자 의견

  • 카카오페이: 비중 축소 (Underweight)
  • 카카오뱅크: 중립 (Neutral)
  • 카카오: 중립 (Neutral)

전체적 평가

"카카오그룹의 주가 상승이 결국 정상화됐던 과거 사례와 닮았다"

시장 상황과 투자자 유의사항

현재 시장 분위기

  • 이재명 정부 정책 기대감 확산
  • AI 산업 육성, 규제 합리화 등 호재 기대
  • 정책주 중심 급등세 지속

투자자 고려사항

  1. 실질적 수익 기여도 vs 기대감 차이
  2. 정책 불확실성 존재
  3. 과거 유사 패턴의 정상화 가능성
  4. 글로벌 IB의 보수적 시각

향후 전망

단기적 관점

  • 정부 정책 발표에 따른 변동성 지속
  • 정책 구체화 과정에서 기대감 조정 가능성

중장기적 관점

  • 실질적 사업 성과 검증 필요
  • 펀더멘털 기반 평가로의 회귀 예상

JP모건의 분석은 현재 카카오그룹의 급등이 실질적 가치 증대보다는 정책 기대감에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 기대감과 장기적 사업 가치를 구분하여 신중한 투자 판단을 내릴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728x90